✅ OKX 지갑 간 자산 이동 – 현물에서 선물, Earn 계정으로 간편하게
OKX는 거래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계정(지갑)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처음에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각각의 계정은 거래, 예치, 복사매매 등 기능별로 분리되어 있어 자산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각 계정의 역할과 자산을 이동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.
🔹 1. OKX의 주요 계정(지갑) 구조
계정명설명주요 기능
Funding 계정 | 입출금용 기본 계정 | 입금·출금, Earn 진입 |
Trading 계정 | 현물·선물 거래용 | Spot, Futures 거래 실행 |
Futures 계정 | 선물 전용 거래 자산 저장 | USDT 또는 코인 기반 선물 거래 |
Margin 계정 | 마진거래용 자산 저장 | 레버리지 거래 |
Earn 계정 | 예치·스테이킹용 자산 | 고정 이자, 유동성 예치 등 |
Copy Trade 계정 | 카피 트레이딩 전용 지갑 | 트레이더 자동 복사 기능 |
📌 입금된 자산은 기본적으로 Funding 계정에 들어갑니다.
→ 거래 또는 예치 상품 사용을 위해 다른 계정으로 이동 필요
🔹 2. 자산 이동(Transfer) 메뉴 위치
- 상단 메뉴 [자산] → [내 자산] 진입
- 이동하려는 코인 우측의 [이동] 버튼 클릭
- From / To 계정 선택 (예: Funding → Trading)
- 이동 수량 입력 후 → [확인] 클릭
📌 OKX의 계정 간 이동은 실시간이며 수수료가 없습니다.
🔹 3. 자주 사용하는 전환 예시
✅ 현물 거래 시작
- Funding → Trading 계정으로 USDT 이동
- 이후 거래 탭에서 매수/매도 가능
✅ 선물 거래 진입
- Funding → Futures 계정
- 또는 Trading 계정에 자산 이동 후, 선물 탭에서 포지션 진입
✅ Earn 상품 이용
- Funding → Earn 계정
- Earn 탭에서 정기 예치, 유동성풀 참여 가능
✅ 출금 준비
- 모든 자산 → Funding 계정으로 이동 후 출금 가능
🔹 4. 자동 이동 기능: 주문 실행 시 자동 이동
일부 거래(현물, 선물)에서는 자산이 없는 계정일 경우, 시스템이 자동으로 이동 여부를 물어보는 팝업이 뜹니다.
이때 "자동 이동 허용"을 선택하면, 별도의 수작업 없이 거래가 실행됩니다.
단, Earn, Copy Trading은 수동 이동만 가능합니다.
🔹 5. 실수 방지 팁
- 거래 전 자산이 해당 계정에 있는지 반드시 확인
- 전송 대상 계정이 맞는지 체크 후 이동
- 자산이 보이지 않을 경우, 상단 ‘숨김 자산 표시’ 체크
- 한 번에 다 옮기기보다는 필요한 만큼만 전송하는 것이 안전
✅ 마무리 요약
항목설명
기본 입금 위치 | Funding 계정 |
거래용 계정 | Trading, Futures, Margin 등 |
예치용 계정 | Earn 계정 |
이동 수단 | 자산 → 이동 버튼 클릭 |
수수료 | 내부 이동은 무료 / 실시간 처리 |
📌 OKX의 계정 구조를 이해하면 자산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.
아래 버튼을 통해 가입하면 수수료 할인 혜택과 함께 전체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'거래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KX Earn 사용법 – 코인을 예치하고 수익을 얻는 방법 (1) | 2025.05.16 |
---|---|
OKX 트레이딩뷰 연동 방법 – 다양한 차트 도구로 분석력 높이기 (0) | 2025.05.15 |
OKX 고급 주문 기능 사용법 – 자동 수익 실현과 손절 전략 세우기 (0) | 2025.05.13 |
MEXC 피자데이 이벤트! (0) | 2025.05.12 |
교차 마진과 격리 마진 차이 – 리스크 관리의 핵심 (0) | 2025.05.12 |